제 2의 성 (시몬 드 보부아르 저)
책소개
현대는‘유니섹스’라는 단어로 정의될 만큼 남성과 여성의 성 구분이 없어지는 시대다. 이러한 경계의 붕괴는 패션이나 갖가지 직업에서 더욱 두드러져 보인다. 그래서 거리에 나서면‘여자 같은 남자’와 ‘남자 같은 여자’를 찾아보기도 어렵지 않다. 그렇다면 외양이 서로 비슷해지는 것만큼 그들의 사회적 위치도 비슷해져 가고 있을까? 각종 매스컴에서 지칭하는 것처럼 과연 우리는 ‘여성상위시대’를 살고 있는가. 그런데 알다시피 사회의 한편에서는 각종 여성운동이 활발하다. 그것은 여성에게만 부과되는 규제와 사회적 금기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제2의성』은 여성의 사회적 위치는 과연 어떻게 되는 것일까에 관한 고찰을 제4편에 걸쳐 서술하고 있다.
저자소개
시몬 드 보부아르
저자 시몬느 드 보부아르
본격적인 여성운동을 촉발시킨 보부아르는 프랑스 파리의 비교적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가세가 점차 기울어 갔고 그녀의 아버지는 딸들에게 원망 섞인 불만을 토로하는 일이 잦아졌다. 이로 인해 보부아르는 아버지에 대해 적대시하는 감정을 갖게 된다. 대학교에 진학한 그녀는 지식을 좇게 되었지만 부모님이 지시하는 ‘상류계급 아가씨’로서의 몸가짐도 따르지 않으면 안 됐다. 때문에 낡은 인습과 새 시대 자유로움의 괴리는 고독을 불러 왔다. 사르트르와의 만남은 괴로움에 몸부림치던 그녀에게 탈출구가 된다. 더욱이 보부아르는 가족들의 비난과 단절에 스스로를 사생아 같다고 여겼으므로 그 만남은 가뭄 속의 단비나 마찬가지였다. 두 사람은 언제나 이곳저곳을 여행 다니며 자유로운 생활을 즐겼다. 그리고 평생 결혼하지 않고 서로의 연애와 사상을 격려하거나 조언하며 동반자로 지냈다. 보부아르는 소설가를 지망하고 여러 작품을 발표했지만, 정작 그녀의 지적 사상과 업적이 빛난 것은 철학 분야였다. 아무래도 사르트르 철학의 흔적이 묻어날 수밖에 없지만, 그녀는 나름의 체계에 따라 명료하고도 과학적으로 자신의 사상을 제시한다.
역자 이희영
성균관대학교 국사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졸업. 파리사회과학고등연구원 EHESS 역사인류학 박사과정 수학. 저서에 「솔로몬 탈무드」 「바빌론 탈무드」 「카발라 탈무드」 「지적여성생활방법」 「여성의 품격」, 옮긴 책으로는 베르그송「웃음」 「창조적 진화」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아미엘「아미엘 일기」 시몬 드 보부아르「처녀시절」 「여자의 한창때」 등이 있다.
목차
제1부 사실과 신화
프롤로그 …11
제1편 운명
제1장 생물학적 조건 …31
제2장 정신분석적 견해 …65
제3장 유물사관의 입장 …80
제2편 역사
제1장 유목민들 …89
제2장 토지의 경작인들 …94
제3장 가부장시대와 고대인 …110
제4장 중세에서 18세기 프랑스로 …127
제5장 프랑스 혁명 뒤의 직업과 선거권 …151
제3편 신화
제1장 꿈과 불안 그리고 우상 …188
제2장 다섯 사람 작가로 보는 여성신화 …259
Ⅰ. 몽테를랑 또는 혐오의 양식
Ⅱ. 로렌스 혹은 남자의 자존심
Ⅲ. 클로델과 주의 여종
Ⅳ. 브르통 또는 시
Ⅴ. 스탕달 또는 진실의 로마네스크
Ⅵ. 요약
제3장 신화와 진실 …327
제2부 현대 여성의 삶
프롤로그 …341
제1편 형성
제1장 유년기 …342
제2장 젊은 처녀 …416
제3장 성 입문 …469
제4장 레즈비언 …512
제2편 상황
제1장 기혼 여성 …537
제2장 어머니 …637
제3장 사교생활 …692
제4장 매춘부와 첩 …726
제5장 성숙기에서 노년기로 …750
제6장 여자의 상황과 성격 …773
제3편 정당화
제1장 나르시시즘의 여자 …809
제2장 연애하는 여자 …829
제3장 신비주의의 여성 …863
제4편 해방
제1장 독립한 여성 …874
결론 …914
보부아르의 생애와 사상
Ⅰ 보부아르의 생애 …935
Ⅱ 보부아르의 사상 …949
Ⅲ 보부아르의 저서 …980
보부아르 연보 …1054
출처: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088700
'책 저장소 >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호의 제국(롤랑 바르트 저) (0) | 2014.05.14 |
---|---|
미학 산책 소크라테스에서 소쉬르까지- 창홍 저 (정유희 역) (0) | 2014.05.11 |
일반언어학 강의(페르디낭 드 소쉬르 저) (0) | 2014.05.08 |
젠더 트러블-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주디스 버틀러) (0) | 2014.04.10 |
나는 사탄이 번개처럼 떨어지는 것을 본다-르네 지라르 저 (0) | 201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