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트러블-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책소개


페미니즘 이론가 주디스 버틀러의 대표작

퀴어 이론의 창시자이자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의 대표적 이론가, 주디스 버틀러의 대표작 『젠더 트러블』. 이 책에서 저자는 여성 없는 페미니즘의 가능성을 제기하고, 섹스/젠더의 이분법을 허물면서 기존 페미니즘 정치학에 도발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또한, 젠더화된 삶에서 가능한 것은 무엇인가 라는 생각 자체가 습관적이고 폭력적인 전제로 인해 배제되는 방식들을 보여주고자 했다. 

제 3부로 구성된 이 책의 1부 '섹스/전더/욕망의 주체들'은 페미니즘 주체에 대한 근본적인 사고의 전환을 모색하며 뤼스 이리가레나 모니크 위티그의 문제의식을 끌어와 이들의 기여와 한계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여성이라는 '범주'가 없는 페미니즘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문제 제기가 펼쳐진다.

제2부에서는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비판하면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3부에서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모성적 몸과 기호계 논의를 비판하고, 위티그나 푸코 논의의 장점과 한계를 지적하면서 버틀러 자신의 독특한 젠더 논의를 정리해나가고 있다.


목차


버틀러의 주요 개념들 
옮긴이 해제 
개정판 서문(1999) 
초판 서문(1990) 


1.섹스/젠더/욕망의 주체들 
1.페미니즘 주체로서의 '여성들' 
2.섹스/젠더/욕망에 강제된 질서 
3.젠더-현대 논쟁에서 돌고 도는 잔해들 
4.이분법적인 것과 일의적인 것 이론화하기,그리고 그 너머 
5.정체성,성,그리고 본질의 형이상학 
6.언어,권력,그리고 위치 변경의 전략 


2.금지,정신분석학,그리고 이성애적 모태의 생산 
1.구조주의의 비판적 교환 
2.라캉,리비에르,그리고 가면의 전략들 
3.프로이트와 젠더 우울증 
4.젠더 복잡성과 정체성의 한계 
5.금기를 권력으로 재공식화하기 


3.전복적 몸짓들 
1.줄리아 크리스테바의 몸의 정치학 
2.푸코,에르퀼린,그리고 성적 불연속성의 정치학 
3.모니크 위티그-몸의 해체와 허구적 성 
4.몸의 각인, 수행적 전복들 
결론-패러디에서 정치성으로 
찾아보기


출처: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526696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