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의 변명- 자신의 무지함을 알았던 단 한사람의 변명


"이 세상에서 가장 현명한 자는 소크라테스다." 이 델포이의 신탁에 반박하기 위해 소크라테스는 이 곳 저 곳을 돌아다니며, 현명한 자를 찾는다. 하지만, 당대의 현자들은 지식이 풍부할 뿐, 자신들이 현명하지 않다는 그 사실을 알지 못했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무지함을 알고 있었고, 이것이 현인의 기준이라 말하였다. 여기서 '너 자신을 알라'라는 유명한 명언이 탄생한 것이다.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진리, 그리고 이러한 진리를 속임수라 하여 소크라테스를 사형시키고자 하는 당대의 분위기. 소크라테스의 변명은 사형 집행 여부를 결정하게 될 재판장에서 이루어진다. 수사학적 언변을 중요시하는 소피스트 학파를 견제하고, 자신이 변명하는 내용에 충실했던 소크라테스. 또한 부당한 사형 선고에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던 담대함, 그리고 냉철한 판단. 지식만을 추구하고, 진실한 어조를 중시할 뿐, 정작 진실을 추구하지 않는 우리의 모습을 다시한번 돌아보게 하는 귀한 책이다.




책소개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철학자인 소크라테스의 영혼이 담긴 책. 플라톤이 엮은 책들로 <소크라테스의 변 명>, <크리톤>, <파이돈>, <향연> 등 4편을 묶었다. 산문문학의 정수로 여겨지며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진 수를 보여준다.



저자소개


플라톤

플라톤(기원전 427~347)은 기원전 427년경 그리스 아테네에서 태어난 철학자이다. 플라톤은 유명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시작된 지 4년째 되는 해에 태어났으며, 전쟁은 기원전 404년에 아테네의 패배로 끝났으므로 전쟁 속에서 태어나 전쟁 속에서 성장하여 성인이 된다. 

그는 맹목적인 삶보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삶이 중요하다는 것을 소크라테스를 통해 배웠다. 플라톤의 집안은 비교적 상류계급이었고 그러한 배경을 가진 젊은이들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그 또한 한때 정치에 뜻을 두었지만, 그가 믿고 따르던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정치적인 배경이 있음을 확인한 후 정치에 회의를 품고 철학에 매진하게 된다.

그는 정치적인 이유로 자주 외국 여행길에 올랐으며 교육에 대한 열의가 매우 높아 소크라테스 사후 많은 우여곡절 끝에 기원전 387년경 아테네 근교에 철학 중심의 종합대학인 아케데미아라는 학원을 창설하였다. 그 곳을 통해 뛰어난 수학자와 높은 교양을 갖춘 정치적 인재들,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많은 철학자들을 양성하며 집필활동에 전념한다. 

소크라테스는 아무런 글도 남기지 않았지만, 그가 죽은 후 제자인 플라톤의 작품을 통해 그의 철학적 삶이 알려지게 되었다. 플라톤의 저서 30여편 가운데 한 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대화형식을 취하고 있어 『대화편』이라고 불리는데, 『국가』 『소크라테스의 변명』 『향연』 『파이돈』 『크리톤』 『프로타고라스』 등에서 주인공으로 모두 소크라테스를 내세우고 있다. 이로써 많은 저서들은 스승인 소크라테스에 대한 기록들로 스승의 영향이 플라톤의 사상적 근간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플라톤의 사상을 한 마디로 요약하기란 불가능하다. 고대의 사상가들이 그러하듯, 플라톤 역시 현대의 분과학문 체계로는 불가능할 법한 종합적 사상을 개진하였다. 그는 인식론적 측면에서 이데아를 제창함으로써 본질과 현상이라는 이분법적 사유를 발전시켰다. 『국가』는 플라톤의 정치관을 대변하는 저술로, 이 저서에서 플라톤은 민주적인 정치 체제보다는 지적 소양이 풍부한 귀족들에 의한 통치를 선호했다. 철인군주론은 플라톤의 정치관을 잘 드러내는 개념이다. 그는 종종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와 비교되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이 다분히 현상 지향적이었다면 플라톤의 사상은 이상적이고 관념 위주였다는 평을 받는다.



목차 


001. 변명
002. 크리톤
003. 파이돈
004. 향연


출처: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2257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