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던적 조건 정보 사회에서의 지식의 위상
책 소개
전문가는 결론을 내리고, 철학자는 질문을 던진다. -리오타르
제일 처음 소개해드릴 책은 전세계에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말을 유포한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Jean-François Lyotard)의 <포스트모던적 조건>입니다.
-포스트모던이란 19세기말부터 과학, 문학, 예술의 게임 규칙에 영향을 준 변형 이후의 '문화 상황', '의식 상태', 혹은 '삶의 형식'이다.
-포스트 모던적 사회에서의 지식은 단지 과학적 지식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행할 줄 앎, 생활할 줄 앎, 경청할 줄 앎 등을 망라한 포괄적인 개념이다.
-포스트모던적 지식은 다양한 언어 게임을 억압하는 폭력에 대항하면서 차이에 대한 우리의 감수성을 세련시키며 불가공약성에 대한 우리의 인내력을 강화시킨다.
포스트모던적 조건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서광사>
------------------------------
지은이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Jean-François Lyotard)는 1924년 베르사이유에서 출생, 소르본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파리 10대학에서 "담론,형태"라는 논문으로 1971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후 파리 8대학 철학과 교수로 역임했으며, 현재는 파리 8대학 및 해외 여러 대학의 객원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그는 극좌파적 성격을 지닌 잡지 <사회주의 혹은 야만>과 <노동세력>의 회원이었으며, "국제 철학 꼴레쥬" 의 창립회원이자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현상학>,<충동적 장치들>, <리비도적 경제학>, <분쟁>, 외에 다수가 있으며 글모음집으로는 <지성인의 무덤과 다른 글들>, <어린이를 위한 포스트모던> 등이 있다.
목차
1. 범위 : 정보사회에 있어서 지식
2. 문제 : 정당화
3. 방법 : 언어 게임들
4. 사회적 유대의 본성 : 모던적 대안
5. 사회적 유대의 본성 : 포스트모던적 전망
6. 이야기적 지식의 화용론
7. 과학적 지식의 화용론
8. 이야기적 기능과 지식의 정당화
9. 지식의 정당화에 관한 이야기들
10. 탈정당화
11. 연구와 수행성에 의한 연구의 정당화
12. 교육과 수행성에 의한 교육의 정당화
13. 불안정성의 연구로서 포스트모던적 과학
14. 불일치에 의한 정당화
출처: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240384
'책 저장소 >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과 사물-그의 전복 사상의 기저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대저작 (미셸 푸코 저) (0) | 2014.05.09 |
---|---|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 교양인을 위한 구조주의 강의(우치다 타츠루 저) (0) | 2014.05.07 |
상처받지 않을 권리 -욕망에 흔들리는 삶을 위한 인문학적 보고서 강신주 (0) | 2014.02.04 |